파이썬 [파이썬] 눈으로 확인하며 배우는 리스트 부수기 - 728x90 리스트란? 파이썬에서 가장 자유도가 높은 선형자료 입니다. 순서를 가진 항목들의 모임이라고 할 수 있다. ex) L = [item0, item1, item2, ... , item(n-1)] 항목들이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고, 위치*를 갖는다는게 핵심이다. 파이썬 리스트에서 활용할 수 있는 추상 자료형 list() 비어있는 새로운 리스트 생성 insert(pos, e) pos위치에 e를 삽입한다. delete(pos) pos위치에 있는 요소를 꺼내고 반환 isEmpty() 리스트가 비어있는지 검사한다. getEntry() pos 위치에 있는 요소를 반환한다. size() 리스트안의 요소의 개수를 반환 clear() 리스트를 초기화 한다. find(item) 리스트에서 item이 있는지 찾아 위치를 반환한다. replace() pos에 있는 항목을 item으로 바꾼다. sort 리스트의 항목들을 정렬한다. merge(lst) 다른 리스트 lst를 추가한다 display() 리스트를 화면에 출력한다. append(e) 리스트의 맨 뒤에 새로운 항목을 추가한다. 파이썬 리스트의 특징 스마트한 배열이다. 동적 배열로 크기 변경이 가능하다. 파이썬 리스트의 시간 복잡도가 있다. 1. 리스트 선언 방법 리스트를 만들고,사이즈를 측정하고, 리스트의 요소를 하나씩 두번 추가하였다. A.pop(위치) 를 활용하여 4번째 요소인 4를 뺐다. 공유하기 URL 복사카카오톡 공유페이스북 공유엑스 공유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아담한 프로그래밍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Contents 당신이 좋아할만한 콘텐츠 [파이썬]교수님 붕어빵 얘기좀 그만하세요. 그래서 클래스가 뭐냐구요 Fxxk! 2021.10.03 [파이썬]스택이 뭐에요? 나서스가 쌓아야 되는거 아니에요? 2021.09.30 [파이썬]변수의 범위 2021.09.23 쉽게 풀어 쓴 함수와 메서드의 차이점, 눈으로 보는 패키지 구조 2021.09.18 댓글 0 + 이전 댓글 더보기